[세계선교및역사자료]/국제정세 및 선교현장소식

터키총리 "아르메니아인 10만명 추방할수도"

기쁨조미료25 2010. 3. 19. 10:26

터키총리 "아르메니아인 10만명 추방할수도"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 결의안에 대한 반감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는 터키에 불법 거주하는 아르메니아인 10만여명을 추방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지난 2주 동안 미국 연방하원 외교위원회와 스웨덴 의회가 터키의 전신인 오스만튀르크에 의한 아르메니아인 집단살해를 '인종청소'를 뜻하는 '대량학살(genocide)'로 규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터키 정부는 이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미국과 스웨덴 주재 자국 대사들을 본국으로 소환했고, 애초 예정됐던 터키-스웨덴 양국 총리 간 정상회담도 취소했다.

17일 터키 뉴스통신 휴리옛 데일리 뉴스에 따르면 에르도안 총리는 영국 BBC 터키어 서비스에 게재된 인터뷰에서 ""현재 터키에 사는 17만명의 아르메니아인 중 7만명만 시민권자다. 우리는 나머지 (불법이민자) 10만명을 참고 있다"면서 "필요하다면 이들 10만명에게 고국으로 돌아가라고 말해야 할지도 모른다. 그들이 터키에 계속 살도록 해야 할 의무가 내겐 없다"고 말했다.

에르도안 총리는 "(결의안을 채택하는) 그런 행동들은 불행히도 우리의 진정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면서 "우리는 손을 내밀고 있지만, 상대가 주먹을 쥔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고 덧붙였다. 이들 아르메니아인은 주로 이스탄불에서 열악한 직종에서 불법으로 일자리를 얻어 살고 있다.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 사건은 터키의 전신인 오스만튀르크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1차대전 말기인 1915~1917년 아르메니아인 150만명(추정)이 사망했다. 이에 아르메니아는 오스만튀르크에 의한 '인종청소'라고 주장하며 국제사회의 인정을 추구해온 반면 터키는 내전의 희생자들이며 희생자 수도 부풀려졌다며 '대량학살'용어를 거부하고 있다.

이런 역사적 갈등 속에서 터키는 1991년 옛 소련에서 독립한 아르메니아를 독립국으로 가장 먼저 승인했지만 이웃국임에도 국교를 수립하지 않은 채 1993년 동맹국인 아르제바이잔의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아르메니아가 점령하자 터키-아르메니아 국경을 폐쇄했다.

터키와 아르메니아 양국은 지난해 10월 근 1세기에 가까운 반목을 접고 화해의 시대로 나아가기 위해 국교 수립 의정서와 관계 발전 의정서에 서명했지만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의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협상이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양국 의회 비준이 늦어지고 있다. 여기에 최근 불거진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 결의안은 이들 의정서의 의회 비준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편, 터키 일간지 자만은 이날 프레드리크 레인펠트 스웨덴 총리가 결의안 채택 이후 내놓은 성명이 사과로 받아들여지면서 터키-스웨덴 관계가 회복되고 있다고 전했다. 에르도안 총리가 레인펠트 총리가 사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의미 있는 반응을 내놓았다고 언급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레인펠트 총리는 의회의 결의안 채택에 대해 우려를 표시하면서 스웨덴 정부는 이 결의안이 터키-스웨덴 양국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었다. 터키의 외교소식통들은 터키 정부가 소환한 스웨덴 주재 대사를 곧 임지에 복귀시킬 것 같다고 관측했다.

한편, 잭 스트로 영국 법무장관은 전날 런던에서 에르도안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영국 의회에서 아르메니아인 대량학살 결의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에르도안 총리를 안심시켰다고 터키 현지 CNN 튀르크 방송이 전했다. 영국 하원 외교위원회는 내달 30일 미국과 스웨덴 의회가 채택한 것과 비슷한 내용의 결의안을 상정할 예정이다. (출처: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