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카서스의 아바자종족 기도정보 러시아의 아바자 (Abaza) 아바자족은 러시아의 남서부, 코카서스의 서부 지역에 살고 있다. 그들은 아브하지아인 종족과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사실, 두 종족은 자신을 부를 때 "아프스와(Apswa)"라는 같은 이름을 사용하며, 매우 비슷한 언어를 구사한다. 아바자어는 아바진(Abazin)이라고도 부르.. [미전도종족·셀링]/카프카즈창 2008.03.08
아프카니스탄의 다르와지종족 기도정보 아프가니스탄의 다르와지(Darwazi) 20세기가 시작될 때까지는 아프가니스탄 땅은 주로 여러 종족들이 연합하여 통치하고 있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항하는 우두머리들과 외국의 정부들이 아프가니스탄을 통제하려 하였다. 오늘날에 아프가니스탄은 독립국가이나, 내전이 오랫동안 계속.. [미전도종족·셀링]/페르시아창 2008.03.08
키르키즈스탄의 타타르종족 기도정보 키르기즈스탄의 타타르 (Tatar) 타타르족은 구 소련의 거의 모든 공화국에서 매우 큰 집단을 이루었던 투르크계의 일족이다. 그들 대부분은 볼가 지역 주변에 밀집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아제르바이잔, 벨로루시, 우크라이나와 중앙아시아 공화국에 많이 거주한다. 타타르족은 10세기 이래로 .. [미전도종족·셀링]/중앙아시아창 2008.03.08
인도의 구주르 라자스타니종족 기도정보 남아시아의 구주르 라자스타니 (Gujur Rajasthani) 아프가니스탄, 인도, 파키스탄에 거주하고 있는 구주르족의 통합 프로파일. 구주르족은 3개의 매우 밀접하게 연관된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총칭하여 "구주르 라자스타니족"이라 알려져 있다. 그들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인도 북동부.. [미전도종족·셀링]/북인도창 2008.03.08
중국의 만차오란종족 기도정보 중국의 만차오란(Man Cao Lan) 베트남 북부에 건설되었던 만차오란 왕조는 현재 중국 남부의 윈난성 근처에 약 36,000명의 후손이 살고 있다. 만차오란족은 산챠이(San Chay)로도 알려져 있다. 그들의 언어는 타이어에 밀접한 만차오란어를 사용하고 있다. 중국과 베트남의 역사적 격변은 만차오란.. [미전도종족·셀링]/중국소수민족창 2008.03.08
태국의 쿠이종족 기도정보 태국의 쿠이(Kui) 쿠이(Kui)족은 태국 동부 중앙지역인 부리람(Buriram), 시사켓(Sisaket), 수린(Surin), 우본(Ubon) 주에 주로 거주한다. 일부는 캄보디아 국경 부근에 살기도 한다. 쿠이족은 타이어로 "납세자(tax-paying)"라는 뜻의 수에이(Suei)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쿠이족이 사용하는 언어인 쿠이어(Kuy).. [미전도종족·셀링]/인도차이나창 2008.03.08
유럽의 유태인종족 기도정보 유럽의 유태인 (Jews) 유럽 18개 국가에 걸쳐 흩어져 있는 유태인 24개 그룹의 통합 파일 유럽의 유태인들은 적어도 2000년 이전, 로마 제국 초기에 유럽에 들어왔다. 그 이후로 이들은 유럽의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다. 오늘날 "유태인의 문화"라고 할 수 있는 상당한 부분이 유럽 .. [미전도종족·셀링]/소아시아창 2008.03.07
카프카즈의 카라차이종족 기도정보 러시아의 카라차이 (Karachay) 카라차이족은 러시아 남서부의 카라차이-체르케스 지역과 주변 지역에서 산다. 그들은 종족적, 문화적, 언어적으로 발카르족과 관련이 있는 투르크계 종족이다. 그들은 카라차이-발카르어의 방언을 구사하는데, 우랄-알타이 어족의 킵차크 계통에 속한다. 일부 .. [미전도종족·셀링]/카프카즈창 2008.03.07
아프카니스탄의 파샤이종족 기도정보 아프가니스탄의 파샤이(Pashayi) 아프가니스탄에 거주하는 2개 파샤이족의 통합 파일 파샤이족(Pashayi, Pashai)은 아프가니스탄 북동부의 힌두 쿠시 산맥의 험한 계곡에서 살고 있다. "파샤이"란 말은 파샤이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가르키는 데 사용하지만, 그들은 스스로를 파샤이라고 부르는 .. [미전도종족·셀링]/페르시아창 2008.03.07
키르키즈스탄의 쿠르드종족 기도정보 키르기즈스탄의 쿠르드 (Kurdish) 쿠르드족은 정치적으로 인정된 자신들의 땅을 갖지 못한 민족이다. 이 폭넓게 분포된 민족에게는 다양한 부족적 연대와 생활방식, 종교적 관습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강하고 공통된 종족적 정체성을 유지해왔다. 지금은 그들이 자기가 사는 나라의 다양한 .. [미전도종족·셀링]/중앙아시아창 2008.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