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사건,기사]/시사·칼럼·뉴스

환경오염-산성비

기쁨조미료25 2008. 1. 12. 20:14

산성비

[정의] [원인] [대응]

산성비는 도시화·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석유·석탄의 사용량이 늘어나 이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이 황산·질산으로 변화하여 산성비가 된다.

[정의]

산성비란 대기의 산성 물질이 생태계에 젖은 상태 혹은 마른 상태로 침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비뿐만 아니라 어떤 형태의 산성침착물도 산성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과학적으로 좀 더 정확한 표현을 쓴다면 산성 침착이라는 말이 되겠지만 현재 산성비라는 용어는 강수 뿐만 아니라 마른 형태의 침착물도 포함하는 광의로 쓰이고 있다.

자연의 비는 대기 속의 이산화탄소와 평형상태에 있다고 하면 pH(수소이온농도) 5.6이 하한(下限)이다. 오늘날 이보다 훨씬 산성이 강한 강우가 전세계적으로 관측되고 있다.

산성비 문제는 우리나라 국민이 모두 인식하고 있는 대기오염의 영향중 대표적인 것이다. 산성비에 대해서는 1853년에 Robert Angus Smith가 영국Manchester市 주변 빗물의 화학에 대해서 발표한 것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세기에 들어서서 대기화학과 분석화학의 획기적 인 발전의 결과로 빗물의 산성도를 pH 로 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1948년에 스웨덴의 Egner가 최초로 산성비 측정망을 설치하였다.

1961년 스웨덴의 Svante Oden은 지표수 측정망 을 운영하여 산성비의 원인이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임을 알아내고 빗물의 주요 이온과 산성도에 계절적 변화가 있음을 발표하였다. 그의 주장에 근 거하여 스웨덴은 1972년 유엔환경회의에서 산성비 에 대한 주장을 하였으며 그 이후로 산성비는 범지구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는 용어로 부각되었다.

top

 

[원인]

산성비의 원인은 자연적인 발생인간 활동에 의한 생성으로 구분된다.

자연적인 경우로는 제일 먼저 아황산가스를 분출하는 화산 활동에 의한 경우를 들 수 있는데, 1980년 5월 18일에 폭발한 미국의 세인트 헬렌즈 화산은 약 40만 톤의 아황산가스를 분출시켜, 영향권 내에 강한 산성비를 뿌렸다.

두 번째로 해풍에 의한 바닷물의 비산을 들 수 있는데 바닷물 방울이 바람에 의하여 대기에 떠돌다가 빗물에 녹아서 빗물을 산성화시킨다.

세 번째로 생물학적 유기산의 형성에 의해 산성비가 되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즉 식물이나 동물의 시체가 지층에서 박테리아나 곰팡이에 의하여 분해될 때 생성되는 각종 유기산도 지면을 흘러 내리는 빗물을 산성화시킬 수 있다.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산성비는 호수, 삼림, 야생 동물에게까지도 피해를 주며, 호수를 산성화시켜서 물고기와 다른 수중 생물을 죽게 한다. 먹이사슬의 생산자가 파괴되면서 새의 수도 감소하게 된다. 새의 식량인 곤충과 식물 그리고 수중 생물이 산성비로 죽기 때문이다.

독일어로 산성비는 발트스테르벤(waldsterben)으로서 즉, "삼림의 파괴"라는 뜻을 내포한다. 또한 산성비는 흙 속의 유독한 중금속을 용해시켜 호수와 하천, 공공수원지 등으로 스며들게 되고, 공공 빌딩과 조각상을 손상시켜서, 건강도 악화시킬 수 있다.

아황산가스와 산화질소는 대기오염 물질이다. 대기의 수증기와 결합하여 산성물질과 산성비가 형성된다. 산성물질은 바람에 의해 이동되고, 산성비가 되어 내린다. 산성비는 오염물질이 발생된 곳에서 약 4.023㎞ 먼 곳까지 내린다. 공업과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인 미국의 중서부 지방에서 내린 산성비는 미국의 동부와 캐나다의 북동부에도 많은 피해를 주며, 스칸디나비아 반도에서 내리는 산성비는 유럽 특히, 영국에까지 피해를 입힌다

. 산성비가 내린 지역 모두가 같은 결과가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즉 산성물질을 중화할 수 있는 지역의 잠재능력이 피해의 양을 결정하게 된다. 알카리성 토양은 산을 중화시킨다. 따라서, 알카리성 토양이 많은 지역은 중성이나 산성의 토양이 있는 지역보다 피해가 적다.

top

 

[대응]

산성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임시적인 대책, 예를 들면 오염된 호수에 석회를 넣어 산을 중화하기 위한 시도 등이 마련되었으나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산성비 문제를 해결할 방법은 산성비를 유발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실질적인 해결 방법이다. 석탄같은 화석연료, 특히 황이 많이 들어 있는 석탄의 사용을 줄여야 한다. 산림보호를 위해 자동차의 매연가스의 양을 줄이고, 대체에너지를 사용하며,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해야 한다. 이런 과정이 실행되어야 산성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산성비에 대한 피해에 대해서는 유럽과 북미대륙 에서 보고된 바 있으며 그 동안 많은 국가들이 참여하여 산성비의 영향을 밝히고 저감대책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한 많은 국제공동연구와 국제협약의 결과 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저감을 목표로 하는 국제협약이 체결된 바가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은 이미 앞서 언급한 서유럽과 북미대륙 과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으며 향후에는 세계 최대의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지역이 될 것은 매우 명화한 사 실이다. 따라서 동북아지역의 산성비 피해를 방지 하기 위해서 산성비를 장기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산성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증요하다.

출처 : 산성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