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전도종족·셀링]/인도차이나창

태국의 루종족

기쁨조미료25 2008. 3. 11. 07:57
기도정보
태국의 루(Lu)

[IMAGE] 루족은 태국 북부지역의 열대 숲과 계곡을 생활 터전으로 하는데, 특히 태국과 라오스의 국경지대인 치앙라이(Chiangrai) 부근에 주로 거주한다. 태국은 동남아시아의 중심에 위치하며 한때는 "시암(Siam)"이라고 불렸었다. 다른 루족 집단들은 중국, 미얀마(전 버마), 라오스에서도 산다.

루족의 본래 고향은 중국이지만 중국인들의 압력으로 인해 많은 루족 사람들이 남쪽으로 이주했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중국 공산당 정부가 세워지면서 루(Lu) 왕국은 멸망했고, 많은 이들이 버마(현 미얀마)와 태국의 북부지방으로 피난했다.

루족은 타이 어족(語族)의 남서 언어군에 속하는 성조어를 사용한다. 대부분의 루족 사람들은 2-3개의 언어를 능숙하게 구사한다. 학교에서는 중부 타이어(Central Thai)를 사용하며, 상업이나 생업을 위해서는 북부 타이어를 사용한다. 루족의 언어는 오직 루족 내에서만 통용되는데, 루족 사람들은 자신들의 모국어(루어- Lu)에 자부심을 느끼며,루족으로서 뚜렷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삶의 모습

대부분의 루족 사람들은 강가 계곡에 사는 농부들이며, 이들은 소비와 판매를 위해 쌀(wet rice)농사를 주로 짓는다. 아직도 물소가 끄는 원시적인 목재 농기구들을 사용한다. 루족은 고기잡이에 탁월하고 은공예에도 뛰어난 기술을 가지고 있다. 남자들은 명품으로 알려진 루족 칼 ( Lu swords)을 제조하며, 여자들의 직조와 수예에 뛰어나다.

태국 정부는 태국 북부지역으로 피난 온 사람들, 특히 마에 사이(Mae Sai) 지역에 있는 사람들의 이동권을 제한 한다. 이곳에 사는 대부분의 루족들은 빗자루를 만들어 팔면서 생계를 유지하거나 또 일부는 공장에서 보석 세공원으로 일하기도 한다.

루족은 논으로 둘러싸인 구릉이나 도로나 길을 끼고 생긴 평지보다 약간 높은 지대에 마을을 이룬다. 루족은 타이(Thai)식 "더미(pile)" 집에 사는데, 초가지붕에다 바닥은 대나무 조각으로 만든 형태이다. 각 마을들은 세망 (semang)이나 족장이 이끌어가는데, 마을 대표들의 가장 중요한 책임은 쌀농사를 지을 적당한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다. 루족 사회는 어떤 엄격한 사회규범이 아닌 주로 주술적인 행위를 통해 사회질서를 유지하는 듯 보인다. 공론이나 근거없는 한담 등이 마을에 퍼지기도 한다.

루족 남성들은 샨족이나 북부 타이족 남성들에 비해 체격이 우람하고 힘도 더 세다. 전통적으로 남성들은 청색 외투를 입으며, 빨강이나 노랑, 흰색의 허리띠에 군청색의 나팔바지를 입고 큰 흰색 터번(turban)도 두른다. 특히 루족 남성들의 특색있는 멋진 칼춤은 익히 알려져 있다. 여성들은 작은 은(銀) 조각으로 장식한 밝은 청색 상의에 적색이나 진홍색의 치마를 입고 터번을 두른다.

집집마다 조상의 사당이 있어서 결혼식 장소로 이용하거나 성행위를 통제하는데 사용한다. 루족 사회에서는 혼전 성관계가 용납되는 것으로 보인다. 일단 한 쌍이 결혼을 하면, 이들 부부의 노동력을 가장 필요로 하는 가정이 어느 집이냐에 따라 거처(居處)를 결정한다.

신앙

루족의 80% 정도가 토속신앙을 믿는다. 테르바다(Thervada) 불교는 종종 토속적 정령숭배와 혼합된 형태인데, 이들은 인간이 아닌 물체들도 혼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은 여러 개의 영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 또한 "지역의 영들(territorial spirits)"이 존재하는데 이는 다양한 사회 계층에 따라 구분된다고 믿는다. 또한 루족 사람들은 조상 숭배(죽은 조상에게 기도를 하며 도움을 구함) 의식을 행한다. 이들은 신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고 살면서 신들을 즐겁게 하고 달래기 위해 종교적 성가(聖歌)와 의식, 제사 등을 지속적으로 행한다.

루족은 윤회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며, 만약 선한 삶을 살면 다음 생(生)에서 높은 계급의 사람으로 태어나고 반대로 악하게 살면 하등(下等) 한 동물로 다시 태어날 것이라고 믿는다.

필요로 하는 것들

현재 두 선교단체가 태국의 루족을 섬기고 있는데, 사역은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 루족에는 기독교인이 300명 미만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3년에 신약만 루족어로 번역되긴 했지만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현대에 맞는 루족 언어로 신구약 성경이 모두 번역되어야 하며, 또한 기독교 방송매체와 다른 복음적 자원들도 필요하다.

기도제목

  • 루족을 묶고 있는 영적 권세들을 파하고 승리하도록 기도하자
  • 성령께서 기독교인들을 향한 루족의 마음을 부드럽게 하셔서 이들이 복음을 받아들이게 되도록 기도하자
  • 루족 가운데 함께 생활하며 장기적으로 사역할 일꾼들이 일어나도록 기도하자
  • 예배와 중보기도를 통해 어두움의 영을 깨뜨릴 기도팀이 일어나도록 기도하자
  • 하나님께서 소수의 루족 기독교인들을 강하게 하시고, 격려하시고, 보호하시도록 기도하자
  • 적절한 제자훈련을 통해서 성령께서 루족 기독교인들 안에 이미 시작하신 일들이 이루어지기를 기도하자
  • 성경과 다른 기독교 자료들이 루족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번역되도록 기도하자
  • 태국의 루족 안에 견고한 지역교회가 세워지도록 기도하자
[지도]

참고:
라오스의 루; 중국의 루; 미얀마의 루.

통계
세계복음화 리서치센터의 최근 보고

종족

  • 종족명:
  • 국가: 태국
  • 언어: 루어
  • 인구: (1990) 56,000
    (1995) 59,300
    (2000) 62,400
  • 주요 종교: 민족전통종교 79%
    불교 20.5%
  • 기독교인: 1% 미만
  • 등록교인: 296
  • 모국어 성경: 신약
  • 모국어 영화 "예수": 없음
  • 모국어 기독교 방송매체: 없음
  • 이 종족을 위한 선교단체: 2
  • 복음을 들어본 적이 있는 사람: 12,200 (21%) 현지 기독교인에 의한 경우: 3,300 (6%)
    외지인에 의한 경우: 8,900 (15%)
  • 복음을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 47,100 (79%)
소속국가
  • 국가: 태국
  • 인구: (1990) 55,582,700
    (1995) 58,790,700
    (2000) 61,909,300
  • 주요 종족 (인구순): 중부 타이 34.65%
    북동부 타이 26.4%
    북부 타이 10.5%
    한족 8.2%
    남부 타이 7.8%
  • 주요 종교: 불교 91.6%
    이슬람교 4%
    중국 전통종교 1.4%
  • 교파수: 40

© Copyright 1997-2002
베다니 세계기도센터 & 한국 컴퓨터선교회

이 기도정보는 수정, 출판 또는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되지 않는 한
자유롭게 복제하거나 배포할 수 있습니다.

[처음 페이지] [국가색인]
[홈] [국가색인]

'[미전도종족·셀링] > 인도차이나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의 쿤종족  (0) 2008.03.13
태국의 샨종족  (0) 2008.03.12
태국의 이산한(푸조우)종족  (0) 2008.03.10
태국의 쿠이종족  (0) 2008.03.08
태국의 중부타이종족  (0) 2008.03.07